Korea Weekly of Florida   로그인  등록하기

 현재시간: (EST) 2025년 9월 17일, 수 5:47 pm
[미국/국제] 미국
 
근무지에서 점점 멀어지는 미국 근로자들
팬데믹 후 주거지와 일터 간 거리 3배 증가, 출퇴근서 해방


▲ 팬데믹 시기부터 시작된 재택근무가 최근 더 늘어나고 있다. 사진은 팬데믹 초기 퇴근시간에 오가는 차량이 거의 없는 플로리다주 올랜도시 다운타운 고가도로 모습. ⓒ 코리아위클리

(올랜도=코리아위클리) 최정희 기자 = 많은 미국인들이 출퇴근에서 해방되고 있다.

금융정보 사이트 <너드월렛>이 최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근로자들의 거주지와 일터까지의 평균 거리는 2019년 10마일에서 2023년 27마일로 거의 3배 증가했다. 물론 이같은 거리 증가는 팬데믹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.

<너드월렛> 보도는 급여 관련 소프트웨어 회사인 구스토(Gusto)와 재택근무 추세를 연구하는 팀인 스탠포드 WFH(Working from home) 그룹이 3월 초 발표한 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다.

연구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약 5800개 중소기업의 급여 데이터를 분석했다. 거리는 피고용자의 주소와 근무지 주소를 연계해 측정한 것이다.

데이터는 팬데믹이 닥친 후 일을 시작한 사람들 사이에서 고용자와 피고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. 2020년 3월 이후에 고용된 근로자들은 고용주로부터 평균 35마일 떨어진 곳에서 살았다. 이는 2020년 3월 이전에 고용된 사람들의 거리보다 두 배 이상 먼 것이다.

급여 데이터는 하이브리드(재택 근무와 출근 겸용) 또는 원격 근무 방식을 구분해 제시하지는 않았다.

팬데믹 이전에는 전체 유급 노동일의 약 7%가 재택 근무였다. 그러나 올해 2월 기준 재택근무 비율은 28%였다.

재택근무를 하게 되면 근로자가 사무실로 출퇴근하는 횟수가 줄어들거나 출퇴근이 아예 없어진다. 따라서 근로자들은 고용주로부터 멀리 떨어져 살 수 있고, 거리 때문에 예전에는 불가능했을 수도 있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고 연구원들은 말했다. 스탠포드 WFH 그룹의 일원인 호세 마리아 바레로는 사람들이 팬데믹 기간에 사무실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더 큰 집을 찾으면서 고용주로부터 멀어졌다고 지적했다.

<너드월렛> 연구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근로자의 5.5%는 고용주로부터 50마일 이상 떨어져 살았다. 이는 2019년의 0.8%에 비해 대폭 증가한 것이다. 특히 이 비율은 특정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훨씬 더 높다. 가령 기술직 근로자의 경우 20% 이상이 고용주로부터 100마일 이상 떨어져 살았다.

재택근무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가장 잘 접근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는 집단들이 실제로 고용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살고 있었다.

가령 30대(육아가 가장 큰 연령대)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직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살고 있었다. 회사원, 특히 기술, 금융 및 보험, 전문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산업(건설업 등)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평균적으로 고용주로부터 더 멀리 살았다. 연간 10만 달러 이상 고 소득자는 다른 집단에 비해 고용주로부터 더 멀리 살았다.
 
 

올려짐: 2024년 4월 18일, 목 7:53 am
평가: 0.00/5.00 [0]

답글이 없습니다.

   

   
   
https://www.dongpojournal.com/
https://www.incheon.go.kr/welcomecenter/index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8999</a
http://junehan.premierhomesrealty.net/
https://www.youtube.com/@wonjucity_official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8752</a
www.smiledentalfl.com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8268</a
https://koreahouserestaurant.com/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798</a
https://www.sushininjafl.com/
www.acuhealu.com
https://www.lotteplaza.com/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766
www.minsolaw.com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4925
www.RegalRealtyOrlando.com
https://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4448</a
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073
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070
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071
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296
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295
www.koreaweeklyfl.com/news/cms_view_article.php?aid=25072
www.sharingkorea.net
www.ksm.or.kr
www.ohmynews.com
www.newsm.com
www.newsnjoy.or.kr
www.protest2002.org
www.biblekorea.org
www.saegilchurch.net
get FireFox
https://korean.go.kr/kornorms/main/main.do
http://loanword.cs.pusan.ac.kr/
https://www.plainkorean.kr/ko/dictionary/dic_new.do